역사 & 종교/시사 & 역사

트럼프-머스크: USAID 해체 논란과 이슈 분석

21세기 애신아씨 2025. 2. 12. 05:46

트럼프-머스크: USAID 해체 논란과 이슈 분석

 

USAID 미국 국제개발처

 

미국 정부는 2025 회계연도(Fiscal Year 2025)**에 약 584억 달러($58.4 billion)**를 국제 원조 프로그램에 지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개편 움직임에 따라 이 금액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2023 회계연도(FY 2023)**에는 719억 달러($71.9 billion)**의 해외 원조가 집행되었으며, 이는 **2022 회계연도(FY 2022)**의 **740억 달러($74.0 billion)**보다 소폭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군사 장비 판매 또는 이전(Military Equipment Sales or Transfers)**을 대부분 포함하지 않아 실제 지원 규모는 더 클 수 있다.

 

해외 원조의 금액, 수혜국 및 사용 용도는 전쟁(War), 재난(Disaster), 질병 확산(Disease Outbreak) 등 상황 변화 및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해마다 달라진다.

 

2001 회계연도(FY 2001)**의 미국 해외 원조는 2023년 물가 기준(Inflation-Adjusted 2023 Dollars)**으로 약 246억 달러($24.6 billion)**로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최근 15년간 연간 원조 규모는 529억~773억 달러($52.9 billion to $77.3 billion) 범위에서 유지되었다.

 

유엔(United Nations, UN)**에 따르면,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해외 원조를 제공하는 국가로, 2024년 유엔이 추적한 인도적 지원(Humanitarian Aid)**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USAID 예산 현황
USAID 예산 현황

 

 

 

1. USAID 독립 운영에서 국무부 이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Elon Musk) 주도의 **대통령 자문위원회(DOGE,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는 **미국 국제개발처(USAID,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의 독립적 운영을 중단하고 국무부(State Department) 산하로 이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 국무장관 겸 USAID **임시 행정관(Acting Administrator)**은 USAID가 미국의 국가 이익과 무관한 “글로벌 자선 단체(Global Charity)”로 변질되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USAID가 세금 낭비 및 남용(Waste and Abuse of Tax Dollars)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며,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트럼프는 취임 첫날부터 **외국 원조(Foreign Assistance)**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Executive Order)**을 서명했다. 국무부 대변인 **태미 브루스(Tammy Bruce)**는 이러한 조치가 “비합리적이고 긴급성이 없는 예산 집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개편 논의가 진행되면서 USAID의 **워싱턴 본부(Washington Headquarters)**는 폐쇄되었고, 직원들에게 출근하지 말라는 지침이 전달되었다. 또한 USAID의 **공식 웹사이트(Official Website)**와 X(구 트위터, Twitter) 계정도 삭제되었다.

 

 

USAID 해체 이슈
USAID 해체 이슈

 

 

2. USAID의 예산 집행 이슈

 

트럼프 행정부와 머스크가 주도하는 DOGE 위원회는 USAID의 여러 예산 집행 내역이 미국의 국익(National Interest)**과 무관한 지출이라며 조사를 진행했다.

 

다음은 논란이 된 주요 지출 항목들이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Gaza) : **콘돔 배포(Condom Distribution)**에 5,000만 달러($50M) 지원

세르비아(Serbia) :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직장 문화 개선150만 달러($1.5M) 지원

아일랜드(Ireland) : DEI 뮤지컬 제작7만 달러($70K) 지원

콜롬비아(Colombia) : **트랜스젠더 오페라 제작(Transgender Opera Production)**에 4만 7천 달러($47K) 지원

페루(Peru) : **트랜스젠더 코믹 지원(Transgender Comic Support)**에 3만 2천 달러($32K) 지원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3,700만 달러($37M) 지원

성·젠더 개발 부서(Gender Development Offices) : 1,600만 달러($16M) 지원

기후 긍정 개발 센터(Center for Climate-Positive Development) : 400만 달러($4M) 지원

회복력·환경·식량안보국(Bureau for Resilience, Environment, and Food Security) : 1,200만 달러($12M) 지원

가족계획 기술 지원(Family Planning Technical Assistance) : 60만 달러($600K) 지원

 

USAID는 이와 같은 예산 집행이 국제 인도적 지원의 일환이며, 특히 **국제 의료 단체(International Medical Corps, IMC)**에 대한 지원을 통해 가자지구 병원 운영(Hospital Operations in Gaza) 및 긴급 의료 지원을 가능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IMC는 2023년 10월 7일(October 7, 2023) 이후 USAID로부터 **6,807만 8,508달러($68,078,508)**를 지원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자지구 내 병원 두 곳 운영 및 의료 서비스 제공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USAID가 5,000만 달러를 가자지구 콘돔 지원에 사용하려 했지만 이를 저지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AP 통신(Associated Press)**은 USAID가 실제로는 **1억 220만 달러($102.2M)**를 IMC에 제공했다고 보도하며, 트럼프 측 발표가 일부 과장되었다는 지적을 내놓았다.

 

3. 정치적 여파 및 향후 전망

 

트럼프와 머스크가 추진하는 USAID 개편은 **바이든 행정부(Biden Administration)**가 유지해온 국제 원조 정책을 전면적으로 뒤집는 조치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 납세자 부담(Taxpayer Burden)**이 증가한 점을 강조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USAID 예산이 **205억 달러($20.5B)**였으나, 바이든 임기 말인 2023년에는 **424억 달러($42.4B)**로 거의 두 배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루비오 국무장관은 USAID가 **조직적 반항(Rank Insubordination)**을 저질렀다고 비판하며, 행정부의 조치를 따르지 않은 직원 2명을 **직위 해제(Placed on Leave)**했다. 또한 DOGE 위원회는 USAID 내부 파일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거부당한 사실을 공개하며, 일부 직원들이 **기밀 정보(Classified Information)**를 감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USAID 개편 논의는 **미국 의회(U.S. Congress)**에서도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으며, 공화당 내에서도 개혁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및 일부 국제 원조 단체들은 “트럼프의 개편안이 미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인도적 지원을 축소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향후 USAID의 구조 조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될지 여부는 2025년 미국 대선(U.S. Presidential Election 2025) 결과로 트럼프 대통령의 우선 과제가 되고 있다. 바로,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한 이후, USAID는 국무부 산하 조직으로 흡수되는 것으로 발표되었고, 머스크가 주도하는 DOGE 위원회에서 USAID 예산 집행내역을 조사해서 보고한 것으로 판단된다. 

 

 

 

 

트럼프 47대 미국 대통령 취임: 최우선 100개 행정명령 총정리**

트럼프 47대 미국 대통령 취임: 최우선 100개 행정명령 총정리 ** 트럼프 최우선 100개 행정명령  2025년 1월 20일 47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을 하게되고, 대통령으로서 1일차를 맞게 됩니다

stephan-review.tistory.com

 

 

 

 

 

 

 
반응형